금융투자 기초 - 투자 상품의 종류
투자 상품의 종류
ⓛ 주가연계증권(ELS, Equity Linked Securities)
장외파생상품 영업을 인가받은 증권회사가 자기 신용으로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으로 무보증 회사채의 성격을 가짐. ELS를 발행한 증권회사가 상환일에 지급 할 금액이 특정 주가지수나 특정 종목의 주가에 연동하여 결정되는 것이 특징.
예를 들어 ELS는 기초주식인 A종목 주가가 만기일에 가서 ELS 발행일 현재 종가의 65% 이상이 되면 증권회사가 투자자에게 원금의 106%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원금만 상환(원금보장형)하는 구조임.
최근에는 투자 기간 중 기초자산의 주가가 크게 하락한 경우에는 가격 하락률(-)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상환하는 조건이 붙어 투자 원금에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의 상품(원금비보장형) 및 투자기간 중 특정 시점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조건이 성취되는 경우 중도에 상환하는 구조의 상품이 보편화되고 있음.
② 파생결합증권(DLS, Derivative Linked Securities)
DLS는 주가나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던 ELS가 발전한 형태로, 이자율, 환율, 실물자산이나 파생상품 등의 가치, 특정 회사의 신용도 등이 사전에 약정 된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경우 발행인이 약정된 수익률을 적용하여 산출한 금액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구조의 상품. ELS와 마찬가지로 지급조건이 성취 여부에 따라 투자 손익이 크게 변동할 수 있음.
DLS는 ELS에 비해 기초자산의 성격이 더욱 복잡하기 때문에 기초자산의 특성과 손익결정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③ 파생결합사채(DLB, Derivative Linked Bond)
파생결합증권(ELS·DLS) 중에서 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을 따로 분리한 형태다.
기초자산의 성격에 따라 주가연계형 파생결합사채(ELB)와 기타 파생결합사채 (DLB)로 분류할 수 있다. ELB는 주식, 주가지수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고, DLB는 이자율, 원자재, 신용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임.
파생결합증권이나 파생결합사채 모두 소비자에게 제시하는 수익 구조는 비슷하다.
기초자산을 기준으로 수익률이 결정되며 사전에 제시되고 약정된 구조에 따라 수익 금액이 지급됨. ELB·DLB는 원금 손실의 위험을 피하면서 은행의 적금이나 예금 금리 이상의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투자상품임.
④ 주식워런트증권(ELW, Equity Linked Warrant)
장외파생상품 영업을 인가받은 증권회사가 투자자에게 일정기간 동안 특정종목의 주가 또는 주가지수를 사전에 정한 조건으로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option)를 부여한 증권. 상품구조가 옵션과 유사한데 우리나라에서는 만기일에만 권리행사를 할 수 있는 유러피언 콜옵션의 형태로 발행됨.
가장 간단한 형태는 콜(call) ELW 구조로, 만기일까지의 남은 기간 중에 특정 주식의 종가가 권리행사가격보다 높으면 ELW 발행 증권회사가 투자자에게 종가에서 권리행사가격을 뺀 금액에 사전에 약정한 전환비율을 곱한 금액을 지급하고, 만일 그 차이가 0 이하가 되면 어떠한 금액도 지급하지 않고 해당 권리가 소멸되는 구조임.
또한 증권회사가 공모방식으로 발행하여 거래소에 상장된 ELW의 경우에는 만기일 이전에는 주식처럼 거래가 이뤄지는데 투자자가 권리행사기간 중에 권리를 행사하면 거래소가 결제이행책임을 지게 되어 있으나, 만기 시에는 증권 회사가 결제 의무를 지게 됨. 따라서 ELW 투자자는 기초자산의 특성, 행사가격과 프리미엄, 옵션의 내재가치, 시간가치에 대한 개념, 발행 증권회사의 신용도 등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음.
⑤ 상장지수 집합투자기구(ETF, Exchange Traded Fund)
ETF는 특정 주가지수 등의 가격변동성을 모방할 수 있도록 자산구성을 만들어 그 주가지수 수익률을 실현할 목표로 자산을 운용하는 펀드. 예를 들어 기초 자산을 두 개의 주가지수로 하는 ETF의 경우 만기까지의 기간 중 수 차례에 걸쳐 두 주가지수가 발행시 수준의 85%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원금과 사전에 약정한 수익을 더한 금액을 지급하고 펀드를 청산하며, 그렇지 않으면 만기일에 두 주가지수 중 하락률이 높은 쪽의 하락률을 적용하여 산출한 금액 [원금×(1-하락률)]을 지급함. 따라서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 큰 폭의 원금 손실이 가능할 수 있음.
2002년 도입된 ETF는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돼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으며 일반 펀드보다 수수료가 저렴하나 펀드이므로 운용수수료가 부과됨. 인버스(Inverse) ETF는 해당 지수의 가격이 내려야 이익 을 거둘 수 있는 상품이며, 레버리지(leveraged) ETF는 해당 지수의 가격 상승폭 또는 하락폭의 배수만큼 손익이 확대되는 상품임.
⑥ 상장지수 채권(ETN, 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펀드(ETF)와 마찬가지로 거래소에 상장돼 손쉽게 사고 팔 수 있는 채권으로, 특정지수의 수익을 오차 없이 보장하는 채권으로 금융회사가 자기신 용으로 발행하고, 투자자는 시장에서 ETN을 자유롭게 사고 팔거나 만기까지 보유해도 무관함. ETN 투자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발행자의 신용위험도로서, 운용성과와 상관없이 발행주체가 파산하면 투자금을 모두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함.
⑦ MMF(Money Market Fund)
단기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해 단기 실세금리의 등락이 펀드 수익률에 신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 펀드. 고객의 돈을 모아 주로 금리가 높은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콜 등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하여 얻는 수익을 되돌려 주는 실적배당하는 상품임.
⑧ RP(Repurchase Agreements)
환매조건부 매매(RP)란 유가증권을 매수(또는 매도)하고 일정기간 후에 사전에 정해진 가격으로 다시 매도(또는 매수)하는 거래입니다. 법적인 성격은 유가증권의 매매거래로 분류되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유가증권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고 약정기간 후에 원금과 약정이자를 받는 확정금리상품이라고 볼 수 있음.
RP 매도자는 보유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담보로 단기자금을 조달하고, RP 매수 자는 유가증권을 담보로 단기자금을 운용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인 자금의 조달과 운용이 가능함.
⑨ CMA(Cash Management Account)
투자자로부터 예탁금을 받아 수익성이 좋은 단기국공채, 양도성예금증서 등의 금융상품으로 운용하고 관리하여 발생한 수익금을 투자자에게 되돌려주는 상품, 어음관리구좌 또는 종합자산관리계정이라고 함.
CMA의 장점은 통장식거래,자유로운 입출금, 안정성이 높다는 것임. 증권사가종합금융회사의 업무도 수행하는 경우에는 CMA는 최고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가능함.
⑩ 전자단기사채
전자적인 방식으로 발행이 이루어지는 단기성(만기 1년 이내) 회사채로 기업어음과 달리 거래 지역의 한계가 없고 실물의 위・변조, 분실과 같은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발행 사무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음 또한 액면금액이 1억 원 이상이어서 최소 액면금액이 10억원인 기업어음보다 거래가 수월하며, 유통내역과 발행내역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운 기업어음에 비해 전자단기사채는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kofiabond.or.kr) 또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채권의 발행 현황과 발행사의 과거 발행액은 물론 발행사의 발행가능 잔액까지 조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Tech-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체 거래소 (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현황과 전망 (0) | 2022.11.17 |
---|---|
(트랜드)채용 플랫폼 시장의 변화와 긱경제 (0) | 2022.11.15 |
금융투자 기초 - 금융투자업 (1) | 2022.10.11 |
금융투자 기초 - 증권과 채권의 기초 (2) | 2022.10.07 |
금융투자 기초 - 증권의 종류 (0) | 2022.10.02 |
(디지털 동향) 디펜스 재테크 시장 동향 - 자산 유동화 (2022.7) (0) | 2022.08.04 |
분산 자율 조직 DAO 에 대하여 ( Decenter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