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계층 영역 (L0, L1, L2, L3)
블록체인을 계층적인 구조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수 있습니다.
L0 : (Base Layer 또는 Protocol Layer):
- 블록 생성,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증, 노드 간 통신 등 기본적인 블록체인 기능을 담당
- 데이터 전송과 채굴 (표준 프로토콜, 생태계 환경) :비트코인의 블록체인 프로토콜
L1 블록체인 (플랫폼)
L2 속도와 확장 (분산 아키텍처)
L3 어플리케이션( 비즈니스 개발 연계)
![](https://blog.kakaocdn.net/dn/bI7oVY/btrBF4zLKiC/9jAsWVQhYkfNy4VFSswPDK/img.png)
기존 블록체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확장성(Scalability)와 상호운용성(Interoperobility)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서로 다른 블록체인간의 디지털 자산이 상호 교환이 가능한 네트웍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레이어 L0 : 데이터 전송과 채굴 (표준 프로토콜, 생태계 환경) : L0 (Base Layer 또는 Protocol Layer):
L0 계층은 비트코인과 같은 레이어 1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하드웨어 및 연결이 존재합니다. 레이어 0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일을 허용합니다.
- L0은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 블록 생성,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증, 노드 간 통신 등 기본적인 블록체인 기능을 담당합니다.
- 대표적으로 비트코인의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L0에 해당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NDel/btrBEDQdtO5/W9lTopvTmRwE2ylU6PkzWk/img.png)
1) 블록체인이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네트웍을 형성
최근 블록체인 네트웍들은 상호운용 가능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드는 코스모스(Cosmos )를 이루고 있습니다.
크로스체인을 위한 텐터민트 프로토콜 IBC '(Inter-blockchain communication protocol) 를 통해서
코스모스코 코인(COSMOS)은 다른 블록체인간의 인터체인 역할과 코스모스 허브를 통해서 "블록체인 인터넷"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Dapp이 하나의 블록체인에서 작동할 수 있다면 동일한 레이어 0을 사용하여 빌드되는 한 다른 블록체인에서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다른 체인에서 동일한 앱을 빌드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리소스를 투자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2)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
IBC를 사용하면 PoS 합의가 여러 체인에 걸쳐 달성되어 거의 즉각적으로 최종성 시간이 발생합니다(최종성 = 블록이 승인되고 롤백할 수 없으며 되돌릴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됨). 그 결과 크로스체인 거래소에서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가 가능합니다.
3)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개발자는 처음부터 블록체인을 처음부터 구축할 필요가 없습니다. 많은 기능이 사전 구축되어 즉시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레이어 L1 블록체인 (플랫폼) : L1 (Network Layer):
레이어 1은 자체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완료하는 블록체인(비트코인 및 이더리움)입니다.
- L1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과 관리에 대한 역할을 합니다.
- 피어 간 통신, 네트워크 보안, 노드 관리 등이 L1에서 이루어집니다.
- 이 계층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서 합의(PoW, PoS)와 같은 작업과 블록 시간 및 분쟁 해결과 같은 모든 기술적 세부 사항이 발생합니다. 현재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 (느린속도 , 비싼 수수료) 로 인한 L1 체인들의 등장 기반이 됩니다.
솔라나, 테라와 같은 블록체인은 성공적인 퍼포먼스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측면은 블록체인 트릴레마인 탈중앙화, 보안, 확장성을 극복하는 것입니다. 단일 블록체인으로 이 세 가지를 모두 갖추기 힘든 과제 입니다.
레이어 L2 속도와 확장 (분산 아키텍처) : L2 (Consensus Layer):
레이어 2는 확장성과 초당 트랜잭션(시스템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레이어와 함께 사용되는 기술 통합입니다.
- L2는 블록체인에서 합의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구현합니다.
- 다양한 노드 간에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트랜잭션의 순서를 결정하는 데 관여합니다.
- Proof of Work (PoW), Proof of Stake (PoS), Delegated Proof of Stake (DPoS)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Arbitrum, Optimism, Polygon 등 을 선두로 빠른 성장이 되고 있으며 확장이 되고 있습니다.
영지식 롤업(zk 롤업), 사이드 체인 또는 트랜잭션 처리 속도 향상과 관련된 모든 것을 들을 때 레이어 2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레이어 L3 어플리케이션( 비즈니스 개발 연계) : (Smart Contract Layer 또는 Application Layer)
레이어 3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입니다. 이것은 소비자로서 우리가 실제로 상호 작용하는 UI를 갖춘 비즈니스 개발 연계 영역입니다.
- L3은 블록체인에서 스마트 계약과 같은 고수준의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합니다.
- 스마트 계약의 실행과 관리, 분산 애플리케이션 (DApps)의 배포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 Ethereum과 같은 플랫폼은 L3 계층에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합니다.
Tendermint의 경우는 P2P네트워킹 계층과 합의 계층으로 비잔틴 장애 허용(BTF) 합의 알고리즘과 ABCI(Application BlockChain Interface) 프로토콜로 어플리케이션과 블록체인을 연결 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kxH0g/btrBIxnch2i/zICnSekNcffDOYQtRi2TVK/img.png)
* Tendermint — Tendermint는 네트워킹과 합의를 기성품의 일반 엔진에 번들로 제공하는 Cosmos의 솔루션으로 개발자가 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상태 머신은 텐더민트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축할 수 있습니다.
* Cosmos SDK는 모듈성과 기능 기반 보안으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IBC(Inter-blockchain) 프로토콜 -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 또는 토큰을 전송할 때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합니다.
[원문]
https://medium.com/@nick.5montana/blockchain-layers-l0-l1-l2-l3-in-a-diagram-569162398db
블록체인 관련 정리
- 블록체인 생태계와 용어 정리(1)
- 블록체인 생태계와 용어 정리(2)
- [블록체인 기초] 토큰화란 무엇일까? (1)
- [블록체인 기초] 스마트 계약과 비즈니스 워크플로우(2)
- [블록체인기초] 토큰 거버넌스 와 스마트 계약(3)
- 암호화 화폐의 분류
- 암호화폐. 전자지갑
- (블록체인) 암호화 키 관리 방식 비교
- (트렌드) 블록체인의 계층 영역 (L0, L1, L2, L3)
- 블록체인 Layer1 Layer2 기술: 메인넷(L1)과 확장기술(L2)
- 블록체인 한계를 극복하는 레이어2(Layer2)기술의 종류와 특징 - 영지식증명
- 2023년에 주목할 5가지 Web3 트렌드
- Web3.0이란 무엇일까 알아보기 모음Zip
- [블록체인]탈중앙화 가상자산거래소(DEX)
'Tech-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POW,POS,POI,POA,POB,POC 합의 알고리즘들 (0) | 2022.07.06 |
---|---|
(트렌드)증권형토큰(STO)과 토큰화된 증권 (0) | 2022.05.27 |
루나코인의 폭락과 폰지사기 (0) | 2022.05.21 |
(기술 트렌드 )데이터 처리 환경의 변화와 미래 (0) | 2022.05.05 |
(트렌드)로우코드 솔루션-시민개발자 (0) | 2022.04.24 |
(블록체인) NFT 표준 기초 용어와 ERC20 ERC721 ERC1155 (1) | 2022.04.16 |
(블록체인) 블록체인의 데이터신뢰 : 오라클 문제와 해결 (Oracle Problem) (0)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