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Trends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

IT오이시이 2021. 3. 17. 23:23
728x90

플랫폼이란


2000년 후반부터 플랫폼이란 관점에서 많은 기업들이 성장 하였습니다.

기차역을 생각하면 플랫폼의 핵심은 고객 (유동인구) + 건물(기술 생태계) + 서비스(마켓)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플랫폼이라는 관점에서 고객, 기술, 비즈니스 서비스 3박자를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특히 비즈니스 서비스 관점은 철저하게 고객 중심이어야 합니다.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란 무엇일까? "

플랫폼을 만들 때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나누고 어떤 것을 제공할 것인지에서 시작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고객을 세분화하여 연령, 지역, 소득, 취향 등을 고려한 개인화 맟춤 서비스 철학은 플랫폼의 핵심입니다. 이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으로 고객의 활발한 참여와 트래픽 증가를 유도하여, 비즈니스 서비스의 성공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넷 비즈니스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고객의 확보와 활성 고객을 늘리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즈니스적으로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하여 새로운 유행이나 트렌드를 이끌 수 있는 서비스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를 시작해 보고자 합니다.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2000년 후반 플랫폼이라는 용어를 기반으로 인터넷의 혁명이 일어났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Open-API 기반의 Web 2.0 개방형 비즈니스 모델이었습니다.

API를 이용하면서 자체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만들고 공유하기가 쉬워지고 (공유,개방) , 여러 서비스와 서비스들이 서로 연결 (Mesh)되면서 B2B, B2B2C 등으로 개방형 서비스 모델들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플랫폼의 3 요소" 고객, 기술, 서비스


흔히 플랫폼 하면 기차역 승강장을 비유하여 말합니다. 기차역을 플랫폼이라고 보고 그 구성요소를 들여다보면 고객(사람/유동인구), 기술/시스템 (기차), 서비스(상점, 거래, 콘텐츠) 등 3가지 요소로 보입니다.

우리가 접하는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GAFA)등의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들은 개인을 위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백화점과 같이 다양한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런데 작은 기업이 모든 것을 한번에 만들거나 빨리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백화점에 입점을 하여 판매를 하거나 , 백화점을 만들어 유통을 하도록 장소를 마련해 주는 것과 같이 인터넷 서비스에도 이러한 공간이 유기적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쇼핑몰처럼 고객용 서비스 공간과 판매자용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고객과 판매자를 이어주는 환경을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인터넷의 플랫폼은 생산자와 공급자 그리고 이용자 간의 연결을 통해 그들의 이용 목적을 해결해 주는 시장 또는 기차역과 같은 역할을합니다.

"플랫폼이란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이라고 합니다.

 

플랫폼 비즈니스 구성 3 요소

고객 , 시스템, 서비스(비즈니스)

1. 고객

플랫폼의 시작은 철저하게 고객 중심입니다. 고객을 위한 무엇을 고려하지 않으면 플랫폼의 가치는 상합니다. 예를 들어 기차역인데 기차가 행선지가 없이 그냥 서있다면 그냥 철도 박물관이듯이지 고객을 위해 제공할 가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2. 기술 (경쟁력)

기술은 서비스의 품질 또는 경쟁력 그리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입니다. 기차역인데 기차가 들어오는 승강장도 없고 철로도 없습니다. 모양은 기차역인데 버스가 정차합니다. 이와 같이 플랫폼은 고객에게 제공할 서비스에 적합한 기술을 갖추어야만 합니다.
인터넷 서비스의 핵심에서도 가장 기본이 회원과 고객이고, 회원에 제공할 콘텐츠, 고객에게 콘텐츠를 홍보하는 시스템 등의 기초 시스템을 기반을 시작으로 기술을 확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3. 비즈니스(서비스/경제적)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보다 "서비스"입니다.
기차를 타러 왔으니 기차 노선과 배차 시간 안내도 필요하고, 티켓팅도 쉽게 하고 , 기차역에서 기다리는 동안 먹거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처럼 인터넷 공간에서도 고객의 취향에 맞는 또는 흥미나 정보가 될 만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통해 부가적인 서비스 확장과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서비스의 품질에 적합한 경제적인 환경이 갖추어진 다면 고객들이 증가하고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입니다.


플랫폼의 종류


수요와 공급이 공존하는 플랫폼의 종류

2000년대에 아래와 같은 플랫폼을 구분한 자료가 있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는 여기에서 수요와 공급의 비즈니스가 없는 부분은 플랫폼이라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종종 인터넷에는 블로그를 통해서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정리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세월이 지나면 그 또한 새로운 오류가 나올 수 있습니다. (흔히 표현의 자유라고 해석 바랍니다.)

하드웨어 플랫폼 / 소프트웨어 플랫폼

“제품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나, 현재 또는 미래의 개발을 지원하는 프로세스”

하드웨어 플랫폼 :

하드웨어 플랫폼은 컴퓨터 시스템이나 장치가 동작하기 위한 물리적인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적 구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플랫폼과는 달리 하드웨어 수준에서 동작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하드웨어 플랫폼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그래픽 카드, 센서 등의 물리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합니다. 마찬가지로, 서버 기반의 하드웨어 플랫폼은 CPU, RAM, 저장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플랫폼은 제품을 개발과 생산하는 기술뿐 아니라, 제품 생산을 빠르게 하거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 조달부터 생산 및 판매에 이르는 모든 것을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여 생산의 품질을 높이는 과정도 필요하고, 고객의 취향이나 트렌드를 분석하여 신제품을 생산하는 과정도 필요합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하드웨어 기술을 떠나 기업의 생산성과 지속성을 제공해줄 환경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측면에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거나, 품질을 안정화하는 부가적인 환경들을 포함하여 플랫폼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플랫폼 :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의미합니다. 플랫폼은 여러 서비스와 도구를 통합하여 개발자가 효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인 AWS(Amazon Web Services)나 Microsoft Azure는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사용됩니다.

최근 플랫폼이란 용어들이 우후죽순 나오면서 플랫폼과 시스템 두 부분이 혼동스럽게 보입니다.

바로 구글 AWS 클라우드 플랫폼과 하둡 플랫폼 두 가지로 예를 들어 보면 둘 중에 하나는 플랫폼이 아니라 시스템 솔루션입니다.

클라우드는 기술(시스템) + 서비스 + 고객으로 구성된 플랫폼의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하둡은 다양한 오픈소스 생태계에서 비롯된 시스템의 모습입니다. 이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쓸지는 모르지만 기술적으로 제한된 "소프트웨어 집합체" 또는 "시스템" 정도입니다. 하둡이 처음 나올 때는 "빅데이터 플랫폼"이라는 거창한 수식어를 붙여서 데이터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 환경으로 제세를 했지만 그 정도는 아닌 상황입니다.
실제로는 플랫폼이 아니라 "복합 시스템"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하둡만으로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데이터도 필요하고 또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스템 (분석 플랫폼) 도 따로 있어야 하고 , 또한 서비스로 연결하는 서비스 모형도 있어야 가능합니다.

따라서 하둡을 기술적으로는 플랫폼이라고 하겠지만, 일반적인 "비즈니스 서비스" 측면에서 논할 때는 "시스템"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서비스 플랫폼 (비즈니스 + 고객 + 기술)

서비스 플랫폼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지 관리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 기술입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비즈니스나 소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Spotify는 음악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음악 스트리밍, 플레이리스트 공유, 음악 추천 등을 포함합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플랫폼은 개발자들이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해당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는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라는 것은 고객과 생산자 간의 수요와 공급이 연결된 환경을 말하는 것입니다. 단순한 콘텐츠 생산과 공급뿐 아니라 고객과 융합되는 과정들이 포함된 것으로 해석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플랫폼의 유형


플랫폼의 유형은 현재까지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 최근 핀테크 기반의 기업들을 보면 "공유 경제 기반의 서비스 모델"들이 플랫폼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보입니다.

[2010년] 플랫폼의 유형

-플랫폼의 유형 : 2010년-

[2016년] 플랫폼의 수익 모델

- 2017년인터넷10대이슈전망(한국인터넷진흥원, KT경제경영연구소,2016)


플랫폼 산업의 진화



 

인터넷 비즈니스에서의 플랫폼 구성 (예시)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란 무엇일까?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나누어 제공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연령별, 지역별, 소득별, 취향별 등에 대한 서비스 철학이 필요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만들어야 서비스 플랫폼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기반에서 "플랫폼"이라고 하려면 아래와 같은 서비스 규칙이 있습니다. 그리고 각 분야별 비즈니스 활동 목표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1. 고객 중심 (타깃팅)
- 회원 모객이 핵심
- 100만 명 까지 채울 목표와 마케팅 전략
*) 회원 정책, 회원 가입 프로세스, 제휴 회원 (연계 회원), 마일리지(포인트) 시스템

2. 콘텐츠 (타깃팅에 의한)
- 최소 1만 종 이상의 콘텐츠 입수 방안
- 고품질 콘텐츠를 유지할 방안 / 생산 /제휴 전략
( UCC, 제휴, 자체 제작 등)
- 콘텐츠 수수료/수익화 방안 (대부분 여기서부터 실패가 좌우되는 듯합니다.)
- 무료/유료 서비스 전략 (이거 고민할 시점엔 성공 단계입니다.)
*) 콘텐츠 관리 시스템 , 이벤트 시스템, 마일리지/포인트/ 충전 / 결제 시스템


3. 커뮤니케이션 (연관 타케팅)
- 고객 확보의 지름길은 고객의 활성도
- 고객을 통한 구전 마케팅
- 생산자와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고객 간의 소통을 통한 콘텐츠 생산 *(UCC)
*) 고객 분석, CRM , 디지털 마케팅 시스템

4. 광고 / 제휴 서비스
- 수익을 보전할 수 있는 광고 제휴
- 광고를 통한 외부 고객 유입 콘텐츠 연계
- 다양한 이벤트를 위한 고객 서비스 제공
*) 광고 시스템, 제휴 정산 시스템

5. 유료 서비스 (부가 서비스)
- 고객의 활성도가 일 50만 이상일 경우
- 지속적인 고퀄리티 콘텐츠 확보
-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 자동 결제, 제휴 정산, 콘텐츠 표준, 콘텐츠 추천 시스템

이 정도 그림 속에서 플랫폼이라는 용어를 쓸 수가 있을 거라고 봅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 비즈니스 플랫폼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입된 고객이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서 유통을 가속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전통기업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과 플랫폼의 전쟁

전통 기업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이라는 것을 왜 하는지 를 찾다가 정리한 자료 입니다. 플랫폼 기업의 특성 플랫폼의 내면에는 양면시장(Two-sided market), 디지털기술(Digital technology), 네트워크효과(Network

couplewith.tistory.com


[교차 네트워크를 원활하게 만드는 것] brunch.co.kr/@bellrings/12

3가지만 있으면 플랫폼이 만들어진다?!

#2 플랫폼이 무엇인가? (모델링) ㅣ 양면시장,교차보조도구,가격전략 | INTROㅣ "플랫폼 모델링은 교차네트워크가 워킹하는 구조" 이전 연재에서 글로벌 Top 10브랜드가 플랫폼에 집중하는 이유 에

brunch.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