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VxeYo/btsy4oUzmrK/LN4XplZvdGPfSysRNWCnJk/img.png)
VirtualBox에 Rocky 리눅스 설치 후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
ㅁ Virtual Box 네트워크 설정 방법
Host 전용 어댑터를 이용하여 Host와 VM 간의 통신 연결하는 방법
- VM을 이용하여 일반 Server처럼 서로 통신하는 테스트를 하려면 NAT 보다는 Host 전영 어댑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NAT 관련 내용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VM의 기본 네트워크 설정 어댑터는 아래와 같이 NAT 방식으로 VM 내부에서 Host의 네트워크를 Nat 통신하여 외부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 VM안에서 외부로 통신은 쉬운데 Host에서 VM으로 통신은 별도 설정이 필요해요)
그래서 반대로 Host에서 VM내부로 통신하려면 Nat에서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한데 저는 Host전용 어뎁터를 하나 더 추가하여 Host에서 "192.168.0.100"과 같은 IP로 직접 접속을 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1) VirtualBox 이미지의 네트워크 설정의 기본 상태는 NAT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mbzPk/btsy9jkaQbC/i7Qq2EzH7TODzSI0Ry8krK/img.png)
2) 다음과 같이 어댑터 2를 선택하고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설정하여 활성화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4EXzC/btsy9QPwFH4/nK8uy6P7uTKNBYgpDRs0O1/img.png)
3) VM을 실행하여 ifconfig 명령을 보면 새로운 드라이버가 잡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enp0s8 드라이버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IP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설정을 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QVvE/btsy025LD9A/L9zOqdpka8Bx6KGCfVoEIK/img.png)
4) VM을 중지하고 VirtualBox 도구 속성에서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합니다.
- 기본은 192.168.56.100과 같이 설정이 되어 는데 편의상 수정을 했으나 기본으로 사용해도 됩니다.
- 저는 192.168.56.1로 어댑터를 저장하여 host에서 192.168.56.1로 SSH를 접속할 예정입니다.
접속을 원하는 IP를 입력하되 처음 하시는 분은 그냥 그대로 사용하시고 수정을 하고 싶으면 " 192.168.56.x"은 그대로 사용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pJRuN/btsy6jenBxP/qNQD6sDaYcJR3kkPYNTYCk/img.png)
5) VM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의 DHCP 설정을 확인합니다.
- 앞으로 VM을 만들고 전용호스트 네트워크를 추가하면 여기 DHCP를 이용하여 IP 설정을 자동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새로 만들어지는 VM의 IP는 192.168.56.1 ~ 192.168.56.99 대역의 IP를 자동으로 할당받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5ECm/btsy35HLHHQ/FtT6qm1ZYTTuyqv1kt2vD0/img.png)
6) 다시 VM을 실행하고 리눅스 환경 설정에서 네트워 설정을 확인합니다.
- 다음과 같이 " enp0s8 드라이버"의 설정을 합니다. 설정이 자동으로 매핑되어 아래와 같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RPIe/btsy36fxCIV/lC3SGWullkCXrEN9WqmkxK/img.png)
6) IP 설정이 확인됩니다.
- 192.168.56.1을 예상했는데 192.168.56.101이 설정되었습니다. 이유는 VM을 설치할 때 이미 정해진 것이라 이후에 수정한 "192.168.56.1"은 반영이 안된 듯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1yvK/btsy3huOEl7/E0dpveWaJH4JH3cNHnHpIK/img.png)
7) 다시 VM을 실행하고 리눅스 환경 설정에서 네트워 설정을 확인합니다.
그래서 위의 "전용 어댑터를 삭제하고 다시 설정을 하니 제대로 작동이 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EI5a/btsy9h0TtbS/33uyrTkUWzMBC6pDdChPw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wWZQ6/btsy46l1MSh/sV6CBKQ81P9texY5FB0hoK/img.png)
8) Host PC에서 ssh로 192.168.56.1로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참고]
https://github.com/TeraTermProject/osdn-download/releases/tag/teraterm-5.0
'InfraPlat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팁) 리눅스 시스템 시간 동기화 하기 (Chrony,NTP ) (36) | 2023.11.24 |
---|---|
(트렌드)클라우드 데이터 기술: Event-Stream-Processing 플랫폼 (70) | 2023.11.21 |
Rocky Linux에서 Docker Compose 사용 - Install Docker (49) | 2023.11.03 |
VirtualBox에 Rocky 리눅스 설치하기(1) (71) | 2023.10.24 |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 - 관리형(Managed) 와 자체 관리형(Self-Managed) - KUBERNETES와 클라우드네 (101) | 2023.10.21 |
★[꿀팁]- 완전 무료_윈도우 삭제 파일 무료 복구 프로그램 puran 사용방법 (101) | 2023.07.19 |
(Basic Linux) 초급 개발자를 위한 리눅스 명령어 20 가지 (15)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