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Trends

★(트렌드)전통 기업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IT오이시이 2021. 2. 14. 21:49
728x90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이라는 것을 왜 하는지 를 찾다가 정리한 자료 입니다.

 

플랫폼 기업의 특성

플랫폼의 내면에는 양면시장(Two-sided market), 디지털기술(Digital technology), 네트워크효과(Network Externality)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면시장(two-sided market)은 두 종류의 이용자 또는 사업자가 특정한 플랫폼을 통해 상호작용함으로써 가치가 창출되는 시장으로 소비자와 공급자 또는 생산자가 플랫폼을 통해 비즈니스가 이루어 집니다.

플랫폼 기업은 온라인에서 디지털기술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양면시장을 형성한 기업이라고 볼수 있습니다.여기에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한 플랫폼 환경은 각 구성원들을 네트웍을 구성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연결 해 줍니다. 

일반적으로 플랫폼 기업으로 Facebook, Amazon, Google, Kakao, Airbnb 등을 생갈 할수도 있지만,  흔히 이용하는 방송 서비스(와차, 넷플릭스, 와브 등), 쇼핑몰 (인터파크, 11st, 쿠팡 등) 도 이런 양면성과 디지털 기술,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비즈니스가 가속화 되는 환경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고정자산(Fixed asset)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온라인 기업으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효과를 일으켜 양면시장의 형성에 성공한 플랫폼 기업(Pure player)을 이루고 있습니다.

<플랫폼 과 양면 시장>

 

전통 기업 의 특성

전통 기업은 정통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단면시장(One-side market), 파이프라인(Pipeline) 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면시장은 구매자가 판매자를 직접 상대하고, 파이프라인은 가치의 창출의 과정이 단계적으로 일어나며, 한쪽 끝에는 생산자가, 반대편 끝에는 소비자가 위치 합니다. 

2차 산업 혁명이후 생산을 중심으로 생산자로 부터 소비자로 공급 중심의 비즈니스 특성을 가지고 성장한 기업을 전통적인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보 산업의 혁명과 전통 기업의 위기

2010부터 전통 기업의 위기와 몰락이라 주제로 대표적인 예로 노키아(Nokia), 코닥(Kodak)을 예로 들고 있습니다.

노키아는 핀란드 기업으로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까지 모토로라를 꺾고 전세계 휴대폰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는 '미래에 대한 안일한 마케팅과 뒤쳐진 트렌드는 결국 망하게 된다'와 '영원한 1등은 없다'라는 결과를 보여준 브랜드이기도 합니다.

코닥은 2000년 이후 필름 사업부와 디지털 카메라 사업부를 제때 매각하지 않아 심각한 재정난을 겪게 되었고, 결국 2012년 1월 19일에 파산 보호 신청 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전통 기업은  정보 산업의 혁명 (제 3의 물결)과 더불어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 되어 왔습니다.

전통 기업의 플랫폼 경쟁 전략  Digital Transformation 

고정자산(Fixed Asset)을 보유한 단면시장의 전통적인 기업이 플랫폼 기업과 경쟁하는 방안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플랫폼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디지털기술 역량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으로, 전략적 관점에서 플랫폼 기업과 경쟁해야 하는 전통적인 기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전략이라고 합니다.

디지털 전환은 기본적으로 전사적인 전략(Corporate strategy) 관점이 중요합니다.

첫째, 디지털기술(Big data, Cloud, Mobile, IoT, AI 등)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둘째, 디지털 기술을 통해서 기존 기업의 가치 활동(value activity)을 변화로, 새롭게 배열(combination)하고·조합(configuration)·연계(linkage)하고 적합성을 강화(fitness)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함으로써 전략적인 차별화를 강조합니다.

 

전통기업이 플랫폼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존 내부 자원을 통제(control)하는 개념에서 외부의 자원을 조정·조절(orchestration)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기업 내부 가치활동의 최적화(optimization)를 뛰어넘어 기업 외부와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합니다.

셋째, 기존 고객가치(customer value) 중심에서 생태계 가치(ecosystem value)를 형성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부터 조직, 제품 및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Transformation이 필요 합니다.

728x90
반응형